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리눅스
- 안드로이드
- /usr/lib/jvm
- 자바 버전 확인
- centos 환경변수
- centos jre_home
- useGeneratedKeys
- return 1
- sh shutdown.sh 오류
- 웹뷰 디버깅
- chrome://inspect
- centos java
- 10진수
- 키보드 사라짐
- MySQL
- foreign_key
- arm-linux-androideabi
- web view
- gitignore not working
- 이벤트 스케쥴러
- 웹뷰 원격
- centos java_home
- 광고
- adjustNothig
- 인덱스 여러개
- event scheduler
- 변환기
- jdk 상세버전 확인
- ndk 오류
- gitignore 오류
- Today
- Total
목록프로그래밍 (21)
개발자가 되고 싶은 1人
mysql에서 특정 테이블의 데이터 삭제시( delete 또는 truncate ) 다른 테이블과의 외래키 때문에 데이터 삭제가 안되는 경우가 있다. 참조하고 있는 테이블의 데이터가 존재하여 데이터를 삭제 하지 못할 때 큰 문제 없이 데이터를 삭제 할 수가 있는데... 부모 테이블과 자식 테이블이 있고 부모테이블의 pk가 자식 테이블의 FK로 관계가 설정된 경우. 1. 자식테이블의 데이터를 먼저 지우고 부모 테이블의 데이터를 지운다. 2. 1번도 귀찮을 경우 set foreign_key_check = 0; 쿼리 실행 위 쿼리를 실행 하면 FK 관계 설정이 되어 있더라도 부모 테이블의 데이터를 먼저 삭제 할 수 있다. 데이터 삭제가 완료 되었으면 기본 설정 값으로 돌려주면 되는데 set foreign_key..

mybatis에서 특정 테이블에 값을 저장한 뒤 최근에 저장된 pk값을 가져와야 될 때가 간혹 존재한다. 다른 블로그들에서 보면 여러 말들이 많은데. 안되는게 많더라. 또한 pk값은 불러 오는데 항상 1만 받아오는 경우도 있더라... (간단히 해결 가능) 1안. INSERT INTO PRODUCT_MASTER (MEASURE_DATE, OD_SCORE) VALUES ( #{measureDate}, #{odScore} ); 2안. INSERT INTO PRODUCT_MASTER (MEASURE_DATE, OD_SCORE) VALUES ( #{measureDate}, #{odScore} ); SELECT LAST_INSERT_ID(); 1안, 2안 각각 뭐가 정답이라기 보단 아무것이나 선택해도 된다. 단, ..
1. Float Hex 2. Double Hex 아래 링크는 1. Float 타입에서 Hex, Hex 타입에서 Float로 변환 2. Double 타입에서 Hex, Hex 타입에서 Double로 변환 해주는 유용한 사이트임. gregstoll.com/~gregstoll/floattohex/ Floating Point to Hex Converter gregstoll.com

mysql에서 데이터가 별로 없을 경우에는 인덱스가 필요 없을 정도로 늦은 속도의 쿼리를 체감하지 못하지만 데이터량이 점점 많아질수록 인덱스를 사용함으로써 쿼리 속도를 개선할 수 있다. CREATE TABLE `test_db`.`student_test` ( SEQ int NOT NULL AUTO_INCREMENT COMMENT '시퀀스', name varchar(20) CHARACTER SET utf8mb4 COLLATE utf8mb4_general_ci NOT NULL COMMENT '이름', grade int(11) NOT NULL COMMENT '학년', group int(11) NOT NULL COMMENT '반', age int(11) NOT NULL COMMENT '나이', `ECG1` flo..
#show status; =>mysql 데이터베이스의 현재 상태 #show processlist; =>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 목록 #kill id; =>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 중 중지 하고자 하는 쿼리의 id #show variables; => 설정 가능한 변수 목록 #flush logs; => mysql의 로그파일 초기화 #flush status; => mysql 상태정보 초기화 #flush thread; => 쓰레드 캐시에 저장된 쓰레드 초기화 #flush tables; => mysql에 캐싱된 테이블 초기화 #flush privileges; => 권한정보 재 설정
android:background="#FF000000" xml에서 16진수 색상값 앞에 아래와 같이 투명값을 입력하면 된다. 100% - FF 95% - F2 90% - E6 85% - D9 80% - CC 75% - BF 70% - B3 65% - A6 60% - 99 55% - 8C 50% - 80 45% - 73 40% - 66 35% - 59 30% - 4D 25% - 40 20% - 33 15% - 26 10% - 1A 5% - 0D 0% - 00 출처 - https://m.blog.naver.com/uko02111/220882369071

(아스키코드를 알면 C/C++이나 Java 등으로 문자열 함수를 다루거나 파일 함수를 다룰때 도움이 됩니다.) 컴퓨터는 0과 1 숫자 밖에 모르기 때문에 문자도 숫자로 기억합니다. 이때, 어떤 숫자와 어떤 문자를 대응시키는가에 따라 여러 가지 인코딩 방식이 있는데 통상 아스키 코드 방식을 많이 사용합니다. 아스키 코드(ASCII Table)는 0번부터 127번까지만 사용합니다. 127번 이후 코드를 사용했던 적도 있었는데 이는 표준이 아니며 운영체제마다 다른 코드(문자)를 배치했기 때문에 호환이 되지 않습니다. 윈도우즈 운영체제는 현재 128번부터 255번 사이에 포함된 문자를 출력하려는 시도에 대해 물음표(?)를 출력해서 사용하면 안된다는 것을 알려줍니다. 128번과 255번 문자는 물음표는 아니지만 ..